지식의, 지식에 의한, 지식을 위한 블로그
DOCTYPE
UI 프레임워크 작업기 - 1차
2019.04.15 - AWS 클라우드 기반 UI 프레임워크 첫 작업 - node 기반 npm 서버구동 - AWS CodeCommit을 통한 Git 관리 - mfa 인증 받은 후 push와 pull - sourcetree / 작업브랜치 생성 후 master 브랜치고 커밋+푸시 / ui-master는 디자이너 확인용 브랜치. - desktop / mobile 구분 - 작업 시 내 작업용 브랜치를 향하고 있는지 반드시 확인하고 작업. - npm run build (작업 후 필히 린트검사) - master에 푸시 후 aws에서 master를 바라보고 풀요청. (*코드검수) - 한번 풀요청 한 코드는 다시 풀요청 할 필욘없고, 수정된 부분만 화면 넘김. - sass / 이클립스 서버에 올릴땐 다시 css로 변환..
DOCTYPE 2019. 4. 24. 11:11아톰(Atom) - 깃허브(GitHub) 연동 방법
아톰 에디터에 GitHub 연동 세팅하기 1. GitHub에서 New reposirtory 생성하고 정보입력 및 부가설정 후 Create reposirtory 클릭. 2. 생성된 reposirtory의 https url 확인. 3. Atom 에디터 실행 후 Packages > Githun > Toggle Git Tab 선택 후 윈도우 혹은 맥(Linux 등)에서 임의의 프로젝트 폴더를 생성. 또는 기존 로컬 저장소를 불러와 Add project Folder도 가능. 4. 커맨드(window) 또는 터미널(mac) 실행 후 해당 프로젝트 경로로 이동 후 설정사항 - git config user.name 사용닉네임 - git config user.email github 이메일주소 - git remote ad..
DOCTYPE 2019. 4. 17. 16:01맥어드레스(MACaddress) 확인하는 법
맥어드레스(MACaddress)란 흔히 맥 주소라고도 불리우며, 컴퓨터가 통신을 위해 랜카드에 부여된 일종의 고유주소를 말합니다. 맥어드레스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해당 포스팅에 다루지 않고, 단순히 맥어드레스를 확인하는 방법만 바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 01. [내 컴퓨터 > 네트워크]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눌러 [속성]으로 들어갑니다. - 02. 연결의 로컬 영역 연결을 눌러줍니다. - 03. 로컬 영역 연결 상태창에서 자세히 버튼을 눌러줍니다. - 04. 네트워크 연결 세부 정보에서 물리적 주소에 나오는 고유번호가 바로 해당 PC의 MACaddress가 됩니다. - ※ 위에 방법 외에도 명령 프롬프트(CMD)에서 'getmac'을 치고 엔터를 누르시면 MACaddress의 물리적 주소가 나오므로 ..
DOCTYPE 2018. 12. 27. 10:48윈도우에서 IP주소 확인하는 법
보통 자신의 컴퓨터의 IP주소를 알고 싶을때 네이버 혹은 타 검색엔진에서 'IP주소'라고 검색하면 간단히 조회가 됩니다. 하지만 개인 컴퓨터의 경우 위와 같은 방법으로 IP주소를 확인해도 무관하지만, 회사 등에서 사용하는 컴퓨터는 자체 서버내 네트워크 안에 있기때문에네이버에서 검색하는 방법의 IP주소는 공인IP주소(외부에서 확인되는 IP)만 확인할 수 있을뿐 사설IP주소(공인IP주소 하위의 네트워크화된 가상IP)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 회사에서 외부 프로젝트를 나갔거나 사내 프린터 공유 등을 위해 IP주소를 알아야 하는 경우엔 공인 IP주소가 아닌 사설 IP주소를 알아야 하므로 간단히 방법을 설명합니다. - 01. 시작버튼을 누르거나, 키보드의 WINDOW 버튼을 누른 후 '프로그램 및 파일 검색'란..
DOCTYPE 2018. 12. 27. 10:21